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워크식스
- 웹퍼블리셔
- 포트폴리오
- 개발자
- 쇼핑몰구축
- work6.kr
- 웹개발자
- 홈페이지구축
- 제이쿼리
- 웹에이전시
- 안드로이드
- plugin
- 쇼핑몰제작
- 사이트제작
- 3D프린터
- 웹디자인
- 프로그래머
- 홈페이지
- 웹디자이너
- jQuery Plugin
- 웹퍼블리싱
- 플러그인
- JQuery
- 홈페이지제작
- 고도몰
- CSS
- 커스터마이징
- 쇼핑몰
- 튜닝
- PHP
- Today
- Total
목록우분투 (7)
그냥 개발자 블로그
라즈베리파이에 우분투 메이트 설치를 원하시는 분들 위해 순서에 대해서 작성 합니다. 필요한 준비물은 다음과 같습니다. 1. 라즈베리파이 2. NTFS 로 포맷 된 SD카드3. 윈도우 PC 여기서 SD 카드는 8기가 이상, 10클래스 이상을 추천 드립니다.우분투 메이트가 설치되고 나면 용량이 5기가에 가깝게 사용됨과 SD카드 10클래스 이상은 되어야 덜 버벅거리기 때문입니다. SD카드는 위 이미지에서 처럼 10 이 표시되어 있다면 10클래스 카드 입니다. (클랙스 숫자가 높을 수록 읽고 쓰기가 빠릅니다.) 설치 순서 1. https://ubuntu-mate.org/download/ 로 이동하여 우분투 메이트를 다운로드 받아야 합니다. LTS 버전을 추천드리며 클릭 후 라즈베리파이 메뉴가 보여지면 다시 클릭..
예를 들어 aaa.com 라는 사이트가 있다고 가정할게요.그런데 aaa.com:5555 와 같이 주소 뒤에 포트번호를 써주면 다른 페이지가 보여지는 것을 보신적이 있을꺼에요.이와 같이 구현하고 싶으신 우분투 웹서버 이용자라면 따라해보세요. 전반적인 과정은 아래와 같아요. 1. 포트를 입력하여 접속시 연결할 디렉토리 설정2. 원하는 포트를 인식할수 있도록 설정3. 아파치 재부팅 우선 웹서버에 /var/www 디렉토리 안에 A와 B라는 디렉토리가 있다고 가정할게요. 1. 포트를 입력하여 접속시 연결할 디렉토리 설정 vi /etc/apache2/sties-available/default vi 명령어를 이용해 편집을 위해 default 파일을 열어 줍니다. ServerAdmin a@localhost Docume..
우분투를 서버로 쓰려고 아이피를 고정아이피로 변경 후 갑작스레 브라우저가 되다 안되다 했어요. 왜 그런지 몰라 한참을 해맸는데 나중에 알고보니 DNS 설정을 안해줘서 였더군요. 만약 저와 같은 현상이 우분투에서 발생한다면 아래 처럼 해보세요. 상단에서 인터넷 연결 모양의 아이콘을 클릭해주세요. 그러면 위와 같이 네트워크 연결창이 뜨는데요. 여기서 지금 연결된 것을 선택하고 편집을 클릭해주세요. 해당 연결의 설정 화면이 뜨면 DNS 서버에 168.126.63.1 를 넣어주고 저장해주세요. 168.126.63.1 이 코넷(?) 이라는 곳에 DNS 서버라네요. 이렇게 설정하고 다시 컴퓨터를 부팅해주시던지 아니면 네트워크만 껏다가 다시 연결 해주세요. 이걸 몰라서 한참 고생했네요. ;;;
보통 웹서버를 만들기위해우분투보다 centOS를 많이들 선택하하여 설치하죠.centOS가 더욱 안정적이라는 의견이 있어서 인데요. 실제로 사용해본 결과 우분투를 설치한 웹서버봐 centOS를 설치한웹서버에는 차이점이 없었으며 최신 패키지가 나오는 속도는우분투가 더욱 빨랐네요. 그렇다면 우분투를 웹서버로 사용하기위한 설치 순서를 알려드릴게요.우분투 설치는 iso 파일만 있으면 쉬우니 패스 할게요. 일단 웹서버에 기본적으로 필요한것들 설치 순서부터 보고 가실게요. 1. ssh 설치2. 아파치설치3. mysql 설치4. php설치5. phpmyadmin설치6. ftp설치7. 사용자추가8. 재부팅 이제 상세를 시작할게요.root 계정으로 설치를 진행해서 sudo 명령어는 사용하지 않았으니참고하시고요. 1. ss..
우분투를 이용하다보면 별도로 생성된 사용자에 대해서 기본경로를 따로 지정해주고 싶을때가 있는데요. FTP 첫 접속시 경로 설정 같은 경우가 되겠네요. root 계정으로 접속해야하고요. /etc/passwd 라는 파일을 열어주세요. 이와 같이 여러 유저 정보가 나열되어 있을텐데요. 기본경로를 수정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home/사용자 이부분을 수정해주시고 재부팅 해주시면 끝!
우분투에 웹서버를 설치했다고 해서 끝이 아니죠.utf-8환경에 적합게 변경도해주어야 한글이며 다른 문자가정상적으로 보여지고 저장되고요.설정으로 보안도 강화시켜줘야겠죠. 포스팅에서 진행할 순서는 아래와 같으니 먼저 숙지해두시고요.설정과정은 편의를 위해 이전과 마찬가지로 root 계정으로진행하였으니 참고해주시고요.한가지 더 전 nano 에디터가 편해서 nano 명령어를 사용했어요.vi나 vim 쓰셔도 상관없으니 이것도 참고해주세요. 1. 사용자설정2. 아파치설정3. php 설정4. mysql 설정5. ftp 설정6. 재부팅 상세 설정을 시작할게요. 1. 사용자설정아파치가 설치완료되고 나면 기본 경로가 /var/www 로 되어있는데요.일반적으로 이 경로를 그대로 사용하지는 않죠. 따라서 사용자 경로로 아파치를..
우분투(데비안 계열)에서 node.js 설치는 매우 간단 해요. #apt-get install nodejs#apt-get install npm 여기서 npm은 node.js 패키지 관리 프로그램이에요. 설치시 주의 할점은 root 계정으로 로그인 하여 설치 해야 한다는거에요. 그렇지 않으면 특정사용자만 사용할수 있게 되죠. root로 설치해야 시스템 내 전체에서 사용할수 있게 되요. 단, 라즈베리파이에서는 과거버전으로 설치되어 express 또는 socket.io를 설치할수 없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