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쇼핑몰구축
- 홈페이지구축
- 쇼핑몰
- work6.kr
- 워크식스
- 프로그래머
- 웹에이전시
- 플러그인
- 웹디자이너
- 쇼핑몰제작
- 개발자
- PHP
- 홈페이지
- 고도몰
- 웹퍼블리셔
- 사이트제작
- JQuery
- 튜닝
- 웹개발자
- 홈페이지제작
- 제이쿼리
- 안드로이드
- 웹디자인
- CSS
- 커스터마이징
- 웹퍼블리싱
- jQuery Plugin
- plugin
- 포트폴리오
- 3D프린터
- Today
- Total
목록프로그래밍팁/linux (27)
그냥 개발자 블로그
To record an error, do the following. 1. Create an empty file. $ vi naver_blog_cron.log 2. Press esc. Press :wq to save. :wq 3. Modify the file permissions. $ chmod 777 naver_blod_cron.log 4. Modify the crontab. $ crontab -e 5. Enter your schedule. and >> Type the log file path after. 45 * * * * /var/www/cron/naver_blog_cron.sh >> /var/www/log/naver_blog_cron.log 2>&1 [Operating time] [Operating..
웹 개발을 하면서 터미널 사용은 생각보다 매우 유용합니다. 에디터나 IDE에서 할수 없는 많은 일들을 처리 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예를 특정함수나 변수를 어디서 봤었는데 파일 위치와 파일명이 정말정말 기억이 나지 않을때가 있습니다. 이럴때 유용한 명령어가 있습니다. $ grep -r 'apple' ./* 위 명령을 해석하면 "apple 이라는 단어가 들어간 파일을 현재 경로를 포함한 하위 모든 디렉토리에서 검색해라" 라는 뜻이 되겠습니다. grep 하나만 잘 사용해도 개발속도가 빨라 집니다. copyright (c) 2017 워크식스
crontab 실행에 대한 오류를 원하는 위치에 리포트하고자 한다면 다음과 같이 한다. 1. 원하는 위치에 로그가 담길 파일을 작성한다. $ vi naver_blog_cron.log 2. 별도로 작성할 내용이 없기 때문에 esc를 누르고 다음과 같이 작성하여 파일을 쓰고 종료한다. :wq 3. 시스템이 파일 내용을 변경할수 있도록 권한을 변경해 준다. $ chmod 777 naver_blod_cron.log 4. 크론탭 수정명령을 실행한다. $ crontab -e 5. 스케줄을 등록할때 >> 다음에 로그 저장경로를 써준다. 45 * * * * /var/www/cron/naver_blog_cron.sh >> /var/www/log/naver_blog_cron.log 2>&1 [실행시간] [실행파일경로] >..
압축하기 $ tar -cvzfp backup.tar.gz ./ tar [옵션] [만들어질 압축파일명] [압축할경로] 압축풀기 $ tar -xvzf backup.tar.gz ./ tar [옵션] [압축파일경로] [압축해제경로] -c 파일을 tar로 묶음-p 파일 권한을 저장-v 묶거나 파일을 풀때 과정을 출력-f 파일이름을 지정-x tar 압축풀기-z gzip으로 압축하거나 해제함a
cat /var/log/apache2/error.log 우분투에서 아파치에 대한 에러로그 방법은 특별히 별도의 로그 저장위치를 설정하지 않으셨다면 보는 방법은 위와 같습니다.
우분투14.04 서버 버전의 경우 크론 로그 설정이 주석 처리되어 있어 로그가 남지 않습니다.다음처럼 진행해서 로그를 활성화 해줍니다. cd /etc/rsyslog.dnano 50-default.conf 50-default.conf 설정 파일을 수정해줍니다. #cron.* /var/log/cron.log 해당부분을 찾아서 하얗게 표시한 주석을 제거 합니다. service rsyslog restartservice cron restart 로그시스템 과 크론을 재시작 합니다.
웹서버에서 어제의 프로그램소스와 DB스키마를 백업해뒀다가 FTP로 다운로드 받아야할 일이 있어서 백업 시스템을 갖추면서구현 방법에 대해서 설명 합니다. mkdir backupchmod 777 backup 원하는 위치에 백업 디렉토리를 만들어주고 권한을 777로 변경해 줍니다. cd backupnano backup.sh 백업 디렉토리 내에 backup.sh 파일을 작성해줍니다. #!/bin/bashtar cvfpz 경로/backup/backup.tar.gz 백업할디렉토리경로mysqldump -u디비계정 -p디비패스워드 디비테이블 > 경로/backup/db.sql backup.sh 파일 내에 다음과 같이 작성후 저장 해줍니다.여기서 주의 할점은 경로들을 작성시에 full 경로를 작성해줘야 합니다. 이것으로 ..
1. 환경- OS : 우분투14 서버버전- 고정 아이피 : 27.35.21.239 - 도메인 : play-ground.kr- hostname : play-ground.kr- 공유기 : 53 포트 오픈 2. 네임서버 세팅 도메인을 구입한곳에 네임서버를 다음과 같이 변경해줍니다. 이후 24시간이 지나면 아래를 진행해주세요. 3. bind9 설치 apt-get install bind9 bind9-utils 설치가 되어 있지 않는 경우만 설치하세요. 4. /etc/hosts 수정 127.0.0.1 localhost127.0.1.1 play-ground.kr27.35.21.239 play-ground.kr # The following lines are desirable for IPv6 capable h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