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PHP
- plugin
- JQuery
- 안드로이드
- 웹개발자
- jQuery Plugin
- 웹디자인
- 3D프린터
- 웹퍼블리셔
- 플러그인
- 포트폴리오
- 프로그래머
- 쇼핑몰제작
- 홈페이지구축
- 튜닝
- 웹디자이너
- 개발자
- 웹퍼블리싱
- 워크식스
- 홈페이지제작
- 쇼핑몰구축
- 고도몰
- 쇼핑몰
- work6.kr
- 홈페이지
- CSS
- 제이쿼리
- 웹에이전시
- 커스터마이징
- 사이트제작
- Today
- Total
목록IT소식&팁 (295)
그냥 개발자 블로그
실사용 3D프린터 후기를 써봅니다 ㅎㅎ 아직 3D프린터 조율중이긴 한데 급하게 필요한 물건이 있었어요. 그것은!! 빨래 집게!! 정확히 말하면 빨래를 집을 용도는 아니지만 비슷한 용도로 빨래집게를 찾아다녔는데 없더군요. 그래서 3D프린터 테스트 할겸 만들어보자 했어요. 그런데 한참 고민 했답니다. 얼마전 저의 실수로 펜 날개를 박살내서 냉각팬을 더 이상 쓸수 없게 되었거든요. 덕분에 방열판 부분이 미친듯이 뜨거워진 경험을해서 3D프린터를 가동 시킬까말까.... 일단 스케치업으로 쓱쓱싹싹 그려보고 슬라이스해서 얼마나 걸리는지 예상 시간을 보기로 했어요. 다이소에서 이렇게 생긴 나무집게를 본적이 있어서 여기서 아이디어를 얻었죠. 40mm에 집게를 슬라이스 해본 결과 예상 시간 40분!! 정말 40분을 냉각펜..
어느덧 델타 3D프린터 만들기가 90%정도 완성되었네요. 그리하여 제가 자작 하는데 총 얼마에 비용이 들어 갔는지 올려보아요.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전부해서 50만원 딱! 나왔어요. (애초에 SD카드와 LCD패널은 저예산에 이유로 제 델타3D프린터에는 없어요.) 제가 델타 3D프린터 만들기 포스팅을 시작할때 적어놨던 예산이 딱 떨어지더군요. 국내에서 아직 50만원짜리 델타 3D프린터를 못보았는데 이정도면 꽤 괜찮다 혼자 판단해봐요. ㅎㅎ 제가 본 국내에서 최저가에 델타 3D프린터는 90만원짜리가 가장 싼거 였어요. 멘델방식(직교방식)은 가장 저렴한게 60만원이었고요. 알리익스프레스나 이베이를 이용하면 KIT를 5만원정도 더 저렴하게 구입할수 있어요. (중국제로요) 단, 제품이 불량이어도 환불이 어렵고 물건..
D프린터 만들면서 성깔 버리겠네요 하나고치면 또 다른 하나가 말썽이고해서 정밀 출력 테스트 진도가 좀 처럼 나가질 않아요. 그래도 주어진 상황해서 이래저래 해보는데 잘 되는지도 의심스럽고 ㅋㅋ 이렇게 출력되던 원인을 찾았어요. 익스투르더가 박살나서 제대로된 압력을 노즐에 전달하지 못하니 저렇게 출력되는거였어요. 아무생각 없이 익스투르더를 꽈악 눌러봤다가 발견했어요. (갈라진 틈이 보이고...) 꽈악 누렀더니 녹은 필라멘트가 노즐을 통해서 잘만 나오더군요. 급한대로 순간접착제로 붙였는데 제대로 된 힘을 받지 못하네요. 그래서 절연테이프로 힘껏 당기며 둘둘둘 말아버렸어요. 당장에 c형크램프가 필요한데 없어서... 레이어 0.3 / 속도 20 / 온도 200 익스투르더를 임시로 고치고서 출력한 결과에요. 가운..
3D프린터를 자작 하는데 꼭 필요한 요소중에 하나가 소프트웨어인데요. 아두이노 보드로 제작되었기 때문에 아두이노 소프트웨어는 필수이고요. 다음으로 출력 명령을 보내주거나 프린터에 상태를 알려주는 소프트웨어가 필요해요. 오늘 여기서는 아두이노는 알고 있다는 판단 하에 아두이노 관련 포스팅은 제외 할게요. 국내 3D프린터 관련하여 독자적인 프로그램은 아직 많이 부족한거 같아요. 찾을수가 없었죠. 그래서 어쩔수 없이 해외 오픈 소프트웨어를 사용 했는데요. 국내에서 가장 대표적으로 사용되는 두 가지 소프트웨어가 cura와 repetier-host 에요. (왼쪽이 cura, 오른쪽 repetier-host) 각각의 소프트웨어는 아래 링크에서 다운로드 받으실수 있으세요. cura https://software.ul..
몇일전 3D프린터가 모양이 완성되었어요. 그때만해도 이제 프로젝트가 끝나가는구나라고 생각이 들었는데 아니더군요. 대충 모양을 갖춘 델타 3D프린터에요. 전에는 풀메탈 헤드였는데요. 풀메탈 헤드에 내부 연결부위가 많아서 필라멘트가 헤드를 통과해 노즐까지 나오는데 3~4번씩 턱턱 걸리고 이 때문에 노즐 막힘이 자주 발생하여 과감히 헤드를 다른형으로 재구매 했어요. 사진에 헤드는 j헤드 mk헤드라 불리우는데 내부에 연결점이 없고 테프론 튜브 같은게 안에 있다고 하네요. 그래서 그런지 재구매한 헤드는 절대 막힘이 없어요. 단 한번도...... 익스투르더는 일단 고정 하지 않고 따로 방치 해놨는데 완성되면 3D프린터 내부에 부착 시킬 예정이에요. 이것도 초기 도안에서 많이 변경 되었는데요. 초기 도안에서는 좌측 ..
오늘은 3d 프린터를 동작시키는 아두이노에 결선 팁을 포스팅 해요. 일단 Ramps1.4를 아두이노 위에 결합시켜서 하나로 만들어주세요. 근데 결합할때 간혹 ramps1.4 아래 납땜 된 다리들이 걸리는 수가 있어요. 그래서 저도 꽉 물리지 않았지만 꽉 물리는게 좋아요. 먼저 보여 드릴것은 모터 연결인데요. 모터는 4선이 하나에요. 모터 연결 할때는 신중히 연결해야 하는데 극성이 있어서 잘 못 연결 했을 경우 보드는 못쓰는 상태가 될수 있시 때문이에요. 모터 드라이브 위로 선을이 자리 잡은게 보이죠? 좌측 상단이 익스투르더 그아래는 좌측부터 xyz 에요. 여기서 자세히 보시면 빨강이 왼쪽 검정이 오른쪽에 자리 잡은게 보이시죠? 이렇게 모터선을 꼽아야해요. 다음으로 엔드스탑 보통은 2선을 사용하시던데 제가..
3D프린터 파워는 중요한데요. 3D프린터 파워에 대한 설명이 있는곳도 별로 없고 맞지 않는 전압을 주었다간 회로가 펑! 하고 타 버릴지도 모르기에 신중하게 작업했습니다. 전기에 대한 기초 지식만 있고 많은 지식은 없어서....;; 자작 하고 있는 3D프린터가 전력이 얼마나 필요할지 정확히 가늠이 안되어서 대충 계산 해봤는데요. RAMPS1.4에 12V가 인가되어야 한다고 해서 RAMPS1.4에서 가장큰 전류인 11A와 둘을 곱하면 12V X 11A = 132 132W가 나왔는데요. 이건 이론상의 수치니 150W는 필요할꺼라 생각이 들꺼 같더군요. 거기다가 12V 두개가 연결되어야 하니까 무식하게 곱하기 2 했어요. 계산한 결과 넉넉히 300W가 되면 되겠구나 싶었죠 ㅎㅎ 이제 집에서 굴러다니는 PC가 있..
카본을 손수 톱으로 자르다가는 마찰열에 의해서 1급발암 물질이 나온다는 이야기를 듣고 잘라논 카본로드를 구하려다가 좀처럼 구하기가 쉽지 않았어요. 그러던중 알파문구본점에서 알류미늄 파이프 발견!! 이거 얼마나 강도가 있을까 생각했는데 생각보다 강도가 꽤 있더군요. 그래서 500mm 짜리 3개를 사와서 톱으로 대충 자르고 단면을 사포로 갈아 정밀하게 135mm로 맞췄어요. 이제 주문해서 받은 쇠구슬을 양끝에 붙였습니다. 제가 구매한 쇠구슬은 한쪽에 나사가 박혀 있는 형태 인데 나중에 생각해보니 일반 쇠구슬을 순간접착제로 붙여도 되겠더라고요. 그리고 로드와 로드를 연결하며 각축의 길잡이 역할을 해주는 커넥터를 만들다가 아뿔싸!!! 박살났어요. 3mm 얇은 나무로 했는데 부러져 버린거 있죠. 자석이 너..